본문 바로가기
매크로 프로그램

선착순 티켓팅 실패 이유와 서버 시간의 진실

by 백수아저씨 2025. 4. 11.
반응형

안녕하세요, 업무 자동화 RPA 매크로 솔루션 ‘오토픽’입니다.

오늘은 네이버, 예스24, 인터파크, 멜론 등 티켓팅에서 왜 실패하는지 그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1. 서버 시간 확인 사이트, 믿어도 될까?

티켓팅 시 많은 분들이 ‘서버 시간 확인 사이트’를 이용합니다.

 

이런 사이트는 단순히 서버 시간을 보여주는 UI일 뿐, 실제 시간과는 오차가 큽니다.
개발자들은 이런 사이트를 신뢰하지 않습니다.

인터파크 티켓팅을 기준으로 말해보면 아래와 같이 ticket.interpark.com을 입력해서 서버 시간을 가져와야 합니다.

 

 

 

인터파크 또는 네이버의 서버 시간을 가져오더라도 티켓팅을 실패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매크로를 사용하시는 분들도 이 사이트의 서버 시간을 보고 선착순 시간이 되기 전 매크로를 실행하곤 하는데요.

사실, 자바스크립트를 조금이라도 아시는 분들이라면 이게 정확하지 않다는걸 금방 알 수 있습니다.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개발자들은 이런 사이트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오차가 크기 때문입니다.

 

서버의 시간을 알아내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서버로 요청(Request)을 보내서 응답 헤더를 분석하는것입니다.

네이버 티켓팅을 기준으로 서버에 Request를 보내보면 아래와 같은 헤더 정보를 보내줍니다.

 

 

 

2. 서버 시간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정확한 서버 시간을 확인하려면, 서버에 직접 **Request(요청)**를 보내고 Response Header에서 Date 값을 읽어야 합니다.

예시 – 인터파크 요청 응답 헤더:

Date: Thu, 09 Jan 2025 03:51:59 GMT

하지만 여기에 문제가 있습니다:

  • 밀리초 단위 시간 제공 없음 → 최대 1초 오차 발생 가능
  • 요청~응답 시간 지연 → 추가 오차 발생
    (예: 요청 0.23ms, 응답 41.45ms → 총 50ms 이상 지연)

결국 아무리 정확히 맞춰도 최대 1초 오차는 피할 수 없고, 1000분의 1초를 다투는 티켓팅에서는 치명적입니다.

 

 

그렇더라도 응답 헤더에 초까지만 알려줘서 결국은 운에 맞겨야 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하루에 한번씩 선착순에 응모할 수 있다면 일주일 내내 실패할 수 있는 것입니다.

1000분의 1초를 다투는 선착순 티켓팅에서 1초는 엄청난 차이이기 때문입니다.

 

아래는 오토픽 매크로의 서버 시간 동기화 액션을 실행한 결과입니다.

인터파크 서버 시간을 요청한 후 결과 값을 가져왔는데요. 자동 보정을 True로 설정하면 여러가지 알고리즘을 통해 시간을 자동 보정해줍니다.

이 액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 서버 시간 가져오기 도움말 ]을 참고하세요.

※ 서버의 시간을 내 컴퓨터 윈도우 시계와 동기화 하려면 윈도우 시계 동기화 사용 옵션을 True로 설정해야 합니다.

 

 

 

네이버 또는 인터파크와 같은 서버 시간 알려주는 사이트의 문제점은 시간을 가져왔더라도 시간이 흐를수록 점점 더 오차가 커진다는 것입니다.

이유는 웹페이지에서 시간을 표시하는 함수가 2종류인데요. 2개 모두 시간을 정확하게 체크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3. setTimeout, setInterval의 오해

서버 시간 표시 사이트는 대부분 setTimeout 혹은 setInterval로 시간을 갱신합니다.

하지만 이 함수들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습니다:

  • setTimeout: 호출 지연 발생
  • setInterval: 간격 보장 안 됨
    → 결과적으로 시간이 점점 느려짐

직접 확인해볼 수 있는 간단한 코드:

setTimeout(() => { console.log(Date.now()); }, 1000);

 

1초마다 로그가 찍히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점점 밀립니다.

 

 

 

메모장에 위 코드를 작성한 후 timer.html로 저장하세요. 그리고, 더블 클릭해서 실행하세요.

devtools의 console을 확인 해보면 아래와 같이 1초마다 한번씩 로그를 찍어주는걸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처음 실행을 제외하고 그 다음부터는 점점 느려지는걸 알 수 있습니다.

정확하게 시간을 처리하고 있다면 0, 1000, 2000, 3000, 4000과 같이 출력되어야 합니다.

 

 

 

이번에는 setInterval을 사용해볼까요? 두 함수의 시간 처리 메커니즘이 다르기 때문에 코드도 약간 달라집니다.

 

 

 

이번에도 동일하게 결과를 확인 해보면 setTimeout과 별다른 차이를 느끼지 못할것입니다.

내부에서 처리하는 메커니즘은 다르지만, setTimeout은 매인 콜스택이 비어 있을때만 실행하기 때문에 약간의 지연이 발생합니다.

반면에 setInterval은 이런 문제에서 자유롭지만 인터벌이 돌아올 때마다 함수를 초기화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뭘 사용하던간에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는 해결할 수 없게됩니다.

참고로, 함수를 초기화하는 setInterval은 함수 사이의 간격이 보장되지 않지만, setTimeout은 보장된다는 차이점도 있습니다.

 

아래는 setInterval을 실행한 결과입니다. setTimeout과 차이가 없죠?

 

 

 

4. 서버 시간과 매크로의 오차 보정

오토픽 매크로는 서버 시간 확인 후, 아래 기능으로 자동 보정을 진행합니다:

  • 여러 번 서버에 요청 → 평균값 도출
  • 통계 알고리즘을 활용한 밀리초 단위 시간 추정
  • 내 PC의 윈도우 시계까지 동기화 가능

※ 옵션: 자동 보정 True, 윈도우 시계 동기화 True


5. 결론 – 서버 시간 확인, 의미 있을까?

단순히 ‘시간 보정 사이트’를 보고 누르는 건 사실상 의미 없습니다.

  • 요청~응답 지연
  • 밀리초 정보 미제공
  • setTimeout/Interval 오차

이 모든 이유로 결정적인 순간에 실패할 수밖에 없죠.


✅ 팁: 티켓팅 성공 확률 높이기

  • 혼잡하지 않은 예약(예: 수강신청, 대관 예약 등)은 간단한 매크로로 충분
  • ChatGPT + 파이썬으로도 자동화 가능
  • 오토픽은 수십 회 요청으로 서버 시간을 예측해 밀리초 단위 보정 가능
  • 빠른 회선, 다수의 컴퓨터 = 현실적인 치트키

🔗 오토픽 클릭 속도 시연 영상

  • 사람이 인식하기 전에 클릭하는 자동화 속도는 직접 보면 확실합니다.

 

정확한 시간은 승부의 시작입니다.
운에 맡기지 말고, 데이터 기반 자동화를 선택하세요.

 

[ 각종 자동화 매크로 및 RPA 프로그램 제작 해드립니다. ]

[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기초 학습 강좌 보기 ]

반응형